경제 썸네일형 리스트형 화폐의 신뢰 제도권하자들은 하이퍼인플레이션 가능성 등 현재의 추세와 어긋나는 갑작스런 사건의 등장 가능성에 꾸준히 조소를 보내고 있다. 그들은 중앙은행의 통제력을 믿는다. 그들이 제시하는 통계와 숫자는 설득력이 있어 반박하기 어렵다. 그런데도 왠지 믿음이 가지 않는다. 제도권학자들이 나머지사람들을 제대로 지켜준 적이 있었던가. 댐에 균열이 가는데 최신 시공 기술이 어쩌고 하며 괜찮다고 하다가 어느날 갑자기 물바다가 되는 상황이 떠오른다. 일본국채금리의 상승의 정말 아무 일도 아닌가. 그냥 이대로 중앙은행들은 돈을 찍어 자국 국채를 인수해도 되고 그렇게 풀린 돈은 경기를 살려 세수가 늘어나면 재정 건전화는 궁극적으로 달성될까. 그것은 최선의 시나리오. 물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그렇게 되지 않으면? 중앙은행의 불환지.. 더보기 현 시점에서 어떤 투자부문이 가장 유망한가? 항상 그 당시 가장 강세를 보이는 부문이 가장 많은 관심을 끌게 된다. 금년에는 러시아의 곡물 수출 금지를 발단으로 밀값이 오르면서 곡물 투자가 집중 조명을 받았다. 얼마나 더 오를 수 있을까? 기술적으로는 일단 2008년에 도달했던 전고점이 도달 목표치가 된다. 그런데 밀, 옥수수 등이 오를 때 동시에 강세를 보인 면화, 커피 등 소프트상품은 미디어에 노출 빈도가 낮았는데 중요 식량이 아닌 탓에 기사화하더라도 대중에게 임팩트가 크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실제로도 소프트상품은 커피, 코코아, 설탕, 면화 등 기호품 위주로 똑같이 가격이 오르더라도 식량 가격 상승만큼 실생활에 주는 충격이 심각하지 않다. 그러나 투자 가치로 판단한 때는 다른 시각이 필요하다. 밀, 옥수수, 콩 등 주요 곡물은 명.. 더보기 소프트상품가격 상대비교 SGG-설탕, JO-커피, BAL-면화, NIB-코코아 금융위기 이후 상품 시세가 회복하는 과정에서 설탕의 움직임이 가장 활발하고 최근 전고점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금년 중반 이래 설탕, 면화, 커피 동반상승하면서 특히 면화의 시세가 많이 오르고 있다. 반면, 코코아시세는 작년 연말~금년 초 피크 아웃하여 하락 추세를 지속하면서 최근의 전반적 원자재, 소프트상품 강세장의 흐름에서 비껴나 있다. 더보기 곡물 가격 급등을 보며 6월 이후 밀을 비롯한 곡물 가격의 전반적인 상승세가 장기 흐름상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2003년부터의 가격 흐름을 본다 옥수수, 대두, 소맥, 미곡 4대 곡물의 2003년 시세를 1로 하였을 때, 2010년 현재 미곡의 상대시세가 가장 높고 대두시세가 제일 낮다. 최근 러시아 가뭄으로 수급 우려가 떠오른 소맥의 상승이 두드러지고 기타 곡물이 뒤따르고 있는 모습이다. 2003년 이후, 미곡 시세가 타 작물보다 상대적으로 강세인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반면, 대두 시세는 4대 작물 중 가장 안정된 편이다. 이러한 가격 흐름은 수급 상황의 차이를 드러내는 것일까?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가 계속될까? 옥수수와 대두의 움직임이 유사하고, 밀은 앞서의 두 작물에 비해 단기적인 변동성이 적은 가운.. 더보기 15-Jun-2010 Commodity market Coffee, oat extended rally. Short covering to avoid further loss adds power to the upside. Spring wheat has outpaced winter wheat after negative crop prospect from Canada due to excess rain in this season. Corn, Soybean complex also showed strength. Crude oil, commodity producing country's currencies continues rebounds maybe drawing right shoulder of head&shoulder pattern. It sometimes tells a b.. 더보기 Mark Faber is pessimistic about Australian dollar Doctor doom, Mark Faber said that he believed housing bubble in Australia is about to burst so he would sell short its currency soon. Australia has more serious bubble than China in terms of leverage according to his saying. If anyone is intersted in his opinion, this book 'How to make money selling stocks short' could teach him the way for shorting something that's due for dropping in near futu.. 더보기 Agricultural commodity trend might curb direction Coffee,oat future is showing price spike for some days. I wonder whether this is a hint of rebounding for agricultural commodity. Yesterday's economic indicators were not good, bond yield got low, and crude oil plunged, but grain complex showed strength. Spring wheat outperformed winter wheat starting harvest in june. Coffee soured the most, oat and miniapolis spring wheat behind. Given so press.. 더보기 나심 탈레브에 대한 오해를 풀다 지난 금융위기를 통해 명성을 얻은 사람 중 나심 탈레브란 사람이 있다. 시장붕괴에 베팅해 큰 돈을 벌었고 블랙 스완이라는 책도 냈다. 확률상 일어날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간주되지만 만약 현실로 이루어질 경우 큰 파장을 불러올 사건을 검은 백조 즉 블랙 스완에 비유했다. 그런 그가 금융위기 이후에는 하이퍼인플레이션에 베팅한다는 말을 들었다. 그러나 각국의 재정투입에도 불구하고 경기회복에 한계가 보이고 반등했던 각국 주식시장과 상품시장이 최근 큰 폭으로 하락하는 것을 보며 그의 운도 한 번 뿐이었나보다라고 내심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며칠전 말콤 글래드웰이 지은 '그 개는 무엇을 무엇을 보았나' 라는 책에서 나심 탈레브에 대한 이야기를 읽고 그에 대해 가지고 있던 얄팍한 편견을 버리게 되었다. 그는 투자에.. 더보기 기술적 분석에 대해 블로그제목은 뭔가 문학적인 느낌이 나게 '장화신은 고양이가 들려주는 이야기'라고 지어놓고 투기질 이야기만 가끔 올려놓은 것에 한숨이 나온다. 잡초 무성한 풀밭에 비교해야 하려나, 앞으로 이 곳을 어떻게 가꾸어가야 할 지 고민이다. 지금도 그렇고 예전부터 기술적 분석의 대가들이 인터넷을 통해 많이 알려져 있다. 한 때 매매시 많이 의존했던 한 분석가의 블로그를 오랫만에 방문했다. 그 당시에는 참 대단한 분석이라고 감탄했던 것들 중 시간의 시험을 견디지 못하고 오답으로 판명난 것들이 수두룩한 것에 충격을 받았다. 만약 그러한 분석을 믿고 실제로 투자를 했더라면 현재 엄청난 재정적 곤란을 겪고 있을 것이 틀림없었다. 내심 대단하다고 인정했던 블로거를 더 이상 인정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 때문에 그에게 미안한 .. 더보기 소프트 원자재 소프트 원자재라는 이름으로 분류되는 코코아, 커피, 원면, 원당 가운데 코코아와 원당은 가장 먼저 시세를 분출하고 조정을 받은 후 잠잠해졌고 근래에는 면화가 그 뒤를 이어 강세를 보이는 중이다. 유일하게 커피가 아직까지 두드러진 움직임이 없었다. 원당은 작년 여름 인도의 설탕 공급 차질이 전세계적 수급 우려로 번지면서 급등했었고, 코코아는 카카오나무의 생산성 저하가 강세장의 동력이 되었다. 공급 우려 및 생산성 저하 문제는 앞으로도 시간이 흘러야 해결될 문제이나 시세만을 본다면 이러한 요인이 넘칠 만큼 반영된 후 거품이 걷히면서 정상수준으로 돌아왔다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설탕과 코코아 값은 급락에 이은 반등 흐름 수준 이상의 상승은 어려울 것으로 간주하는 게 좋겠다. 면화의 강세장은 현재에..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